Honey, Beta World Is Over Soon
TZUSOO in collaboration with DALL·E 2
2022
Arcryl Plate, Neon Glass
50 x 50 x 10 cm






"인간을 기계보다 우위로 생각하는 습관을 버리면, 상황이 완전히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저는 AI 제너레이터에게 제 작품 이미지를 주지 않습니다. 제 작품을 머릿속으로 떠올리며, 몇 가지 단어를 던질 뿐입니다. 그럼 빅데이터를 통해 예술을 공부한 AI 제너레이터는 수만 가지 버전의 에이미를 제시합니다. 그중에는 관객들이 추수가 만든 에이미라고 믿어 의심치 않게 만드는 그림들도 많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는 작품들을 답습하여 새롭게 조합하거나 창의성을 가미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창의력이라면, 이 과정에서의 AI 제너레이터와 예술가가 하는 일에 우위를 가리는 것이 오히려 인간에게 절망적인 승부입니다.
플라톤은 현실을 이데아의 모사라고 보았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능력(원본)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모방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인공지능이 인간의 능력을 초과하는 순간 원본은 계속해서 원본으로 존재할 수 있을까요? AI 제너레이터가 그린 이미지들은, 다양성의 영역에서만큼은 확실히 제가 그린 원본의 한계를 뛰어넘습니다. 시뮬라크르가 원본에 대해, ‘내가 왜 널 닮아야 하는데?’라고 반문하는 사드(Marquis de Sade)의 노선을 AI 제너레이터들은 거침없이 밟고 있는 것입니다. 오히려 제가 인공지능을 동등한 위치로 봐주는 게 아니라, 그렇게 하자고 인간의 틀을 들이대며 사정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저는 기술을 단순히 도구적인 것으로 취급하지 않고, 그렇다고 인간을 기술의 노예가 되는 존재로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통상 이전의 기계론(Mechanism)에 입각하자면 AI 제너레이터는 단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기계에 지나지 않겠지만, 프랑스 현대 철학의 기계주의(Mechanist) 관점에서 보자면 접속하는 항에 따라 유연하게 달라질 수 있는 기계 개념이 됩니다. 푸코는 『감시와 처벌』에서 근대적 인간 주체를 이뤄온 가장 핵심이 자유의지가 아니라 규율이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규율, 즉 AI 제너레이터를 포함한 기계의 핵심과 근대화된 인간은 같은 핵심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기계 속에는 이미 인간성이 실현되어 있습니다. AI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려면 인간이 일정한 키워드를 주어야 합니다. 인간이 컴퓨터에 맞춰야 하고 컴퓨터가 인간에 맞춰야 하는 가정들을 사이버네틱스라고 기본적으로 정의한다면, 이질적으로 보이는 유기체와 무기체, 생명체와 기계는 하나의 연속성을 갖는 셈입니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인공지능과 ‘협업'한다는 주장은 그리 부자연스럽게 들리지 않을 것입니다."
하이트 컬렉션 전시 도록 중, 추수 인터뷰 발췌



HITE Collection, Seoul, South Korea
photo by kyoungtae kim